아무래도 디지털 직무 후기가 적더라고요!
그래서 전형기간 동안 정리를 잘 해놓고 정보를 공유하도록 해야겠다 맘을 먹었습니다!
다행히 최종 합격하고 적어서 더 기분이 좋네요 :)
1. BEI 면접
BEI 면접은 다대다로 이뤄졌습니다.
한조에 7명의 지원자 분이 있으셨고 면접관님은 세 분 들어오셔서 진행을 하였습니다.
70분 진행이고 아무래도 7명의 지원자가 있어서 개인질문은 거의 4개 정도 받았습니다.
공통질문
1. 자기소개 30초 권장
- 30초 권장이지만 다들 50~60초 정도 하셨습니다.
2. 업무 진행에 있어서 자신이 가지고 있는 스킬셋 혹은 강점
개인질문
1. 진행한 공모전, 프로젝트 중에 가장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는 경험 1가지에 대해서 말해주세요.
2. 이미지 관련해서 프로젝트가 많은데 이미지 처리 기술을 어떻게 하나은행에 사용할 수 있을까요.
3. 하나은행 뿐만 아니라 다른 시중은행까지 포함해서 가장 경쟁력 있는 은행은 어디라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근거가 어떻게 되나요.
개인적으로 자소서에 써놓은 활동에 대해서 잘 숙지하고 있으면 자소서 기반한 질문은 잘 대비할 수 있다고 생각한 면접이었습니다.
2. PT 면접
PT면접은 2개 주제에 대해서 자료가 주어지고 30분동안 발표자료 제작 및 준비를 한 후 7분 발표 8분 Q&A로 진행합니다.
개인적으로 면접 준비하시면서 하나금융연구소에서 내는 보고서를 읽는 게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발표자료는 참고가 될 수 있고 안될 수도 있다고 하셨지만 그래도 깔끔하게 정리하는 게 좋다고 생각해요 :)
http://www.hanaif.re.kr/main.do
하나금융경영연구소
하나금융정보 정기 발행되는 다양한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정보와 소식을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구독 신청 최신 호 보기
www.hanaif.re.kr
제가 받은 주제는
1. CBDC
2. 최신 기술 활용해서 고객경험 개선 / 업무 효율화 방안
다른 타임에서 받은 주제는
1. 슈퍼앱
2. 클라우드 활용
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지고있었던 사항이기도 하고 사실 디지털 직무를 지원함에 있어서 생각을 평소에도 한 부분이라 PT는 무난하게 준비를 했던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중요한 면접태도에 대해서 말씀드리면
1. 인정하는 태도 (우기는 순간 안좋을 것 같아요..)
2. 개발보단 기획, 아이디어 쪽으로 강점을 두는 것 -> 디지털 직무가 개발 직무가 아닌 PM역할을 보통 많이 해서...
3. 좋은 인상을 유지하는 것 -> 아무래도 행원을 하고 나서 디지털 직무로 가기 때문에...
데이터 분석 직무로 지원하신 분들은 자신이 사용한 기술, 이유에 대해서 준비를 철저히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저도 이전까지 썼던 모델, 기술 논문을 한 번씩 더 보고 갔습니다!!
3. Hana Value면접
음악이 나오고 편한 의자에서 1대 1로 면접관님과 대화를 합니다!
일단 하나의 핵심가치에 대해서 미리 숙지한 후 자신과 가장 잘 맞는 가치를 찾고 경험을 정리해 놓으면 딱히 부담이 없는 면접입니다!
저는 정말 편안하게 대화하듯이 면접을 봤어요 :)
제가 받은 질문은
1. 희생경험
2. 도전했던 경험
이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
실무진 면접은 아무래도 같이 일할 사람을 뽑는 관점에서 진행된다고 생각해요!
서류+코테를 진행한 후 상태라 지원자분들 이력이 정말 상당히 높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도 중요한 것은 이력보다 자신이 정말 강점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 보시고
그것을 활용해서 어떻게 기여할지 깊게 고민하고 오시면 좋을 것 같아요 ㅎㅎ :)
궁금한 사항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세요!
최종면접은 다음글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