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github

Github

by Coding Dang dang 2022. 8. 28.

Git 활용해서 로컬 저장소에서 커밋 관리 

1. 로컬저장소 만들기 

내가 원하는 위치에 실습을 진행할 폴더를 만들면 된다. 
여기서 나는 바탕화면/github_study/p_language-cat 만들었다. 

 

2. 만들 폴더안에 텍스트 문서 생성 

README 텍스트 파일을 하나 생성해서 안에 

작성 후 저장한다. 

3. p_language-cat 폴더에서 우클릭 후 git bash Here 선택

4. 터미널 창에 git init 입력 

-> 해당 명령어를 실행하고 나면 폴더안에 .git 라는 폴더가 자동 생성됨. 이 폴더를 로컬 저장소라고 함 

 

5. 첫 커밋 만들기 

- git은 여러 개발자들이 한 프로젝트를 협업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따라서 각 버전을 누가 만들었는지 아는 것이 더 업무에 있어서 효율적일 것이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등록된 계정이메일"

git config --gloabl user.name "깃허브 등록된 이름"

 

6. 방금 만든 README 파일을 커밋

- 커밋에는 상세 설명을 적을 수 있음 
-> 협업 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다른 사람이 읽었을 때 이해가 가능하도록 -m "{}" 메시지를 적는 것이 중요하다. 

 

7. README 파일 수정 후 다시 커밋 6번 과정 다시 진행 

8. 커밋 이력 보기 

미리 쌓아둔 commit으로 원하는 커밋으로 언제든지 복원을 할 수 있다.

git log를 입력하면 두 개의 커밋이 뜨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중 내가 복원을 원하는 커밋의 아이디를 복사하고 

git checkout {복사한 아이디}를 하면 해당 커밋으로 상태가 돌아간다. 

 

 

이번 포스팅의 요약

1. git init은 말 그대로 해당 폴더에 자신의 git 로컬 저장소를 생성하는 것이다. 

2. commit을 만드는 이유는 버전 관리를 위해서이다. 
-> 이때 -m을 통해서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데 변경사항을 잘 알 수 있도록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3. git log는 커밋의 이력을 볼 수 있다. 

4. git checkout {커밋 아이디}를 통해서 내가 원하는 커밋의 버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1) 2022.08.28

댓글